맨위로가기

핀란드 공산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 공산당(SKP)은 1918년 핀란드 내전 패배 후 소비에트 러시아로 망명한 핀란드 사회민주당 지도부에 의해 모스크바에서 창당되었다. 1944년까지 불법 정당으로 활동했으며, 냉전 시기에는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을 통해 의회 정치에 참여하며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유로공산주의와 친모스크바 노선 간의 분열, 소련 붕괴로 인한 이념적 갈등, 재정 파탄으로 1992년 해산되었다. 이후 SKPy가 핀란드 공산당으로 재등록되었으나, 과거의 의회 대표성을 회복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 인민민주동맹 - 사회주의통일당 (핀란드)
  • 1992년 해산된 정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은 1921년 창당되어 한때 유럽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으며, 1948년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여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했으나, 1989년 벨벳 혁명으로 권력이 종식되었다.
  • 1992년 해산된 정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은 1965년 창당된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으로, 사우르 혁명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사회주의 개혁을 추진했으나 내전과 소련 개입으로 1992년 붕괴되었으며, 이후 계승 정당들이 등장했지만 파벌 간 대립은 지속되고 있다.
  • 핀란드의 해산된 정당 - 핀란드인당
    핀란드당은 1860년대 페노만 지식인들이 핀란드어의 지위 향상을 목표로 형성한 정당으로, 러시아 제국 시대 러시아 당국과의 협력 시도와 러시아화 정책 대응에 대한 분열을 겪었으며, 핀란드 독립 후 군주제 지지 여부로 국민연합당과 핀란드 국민진보당으로 분열되었다.
  • 핀란드의 해산된 정당 - 라푸아 운동
    라푸아 운동은 1929년 핀란드에서 반공주의, 루터교,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시작되어 좌파 및 노동계 활동을 방해했으나, 과격한 행보로 인해 불법화되었다.
핀란드 공산당
기본 정보
정당 이름핀란드 공산당
원어 이름
약칭SKP
창당일1918년 8월 29일
해산일1992년
분당핀란드 사회민주당
합당좌파동맹
청년 조직핀란드 청년 공산주의자 동맹
이념마르크스-레닌주의 (1970년대까지)
유럽공산주의 (1970년대부터)
타이스토주의 (소수)
정치 성향극좌
국내 연합핀란드 인민민주동맹
국제 조직코민테른
상징색빨간색
국가핀란드
로고
로고
기타 정보
후계 정당좌파동맹
핀란드 공산당 (1994)
공산노동당-평화와 사회주의를 위하여

2. 역사

1920년 모스크바의 핀란드 공산당(SKP) 망명 중앙위원회. 왼쪽부터: K. M. 에바(K. M. Evä), 유카 라흐야(Jukka Rahja), 얄로 코호넨(Jalo Kohonen), 쿨레르보 만네르(Kullervo Manner), 에이노 라흐야(Eino Rahja), 만디 시롤라(Mandi Sirola), 위르외 시롤라(Yrjö Sirola).


1960년 5월 1일 헬싱키 카이보카투 거리의 핀란드 공산당 노동절 행진


1970년 핀란드 공산당 지도자들: 왼쪽부터 엔시오 라이네, 마르쿠스 카이눌라이넨, 타이스토 시니살로, 아르네 사리넨, 아르보 알토, 에르키 키비매키


1918년 핀란드 내전에서 붉은군이 패배하자 핀란드 사회민주당 지도부 일부는 소비에트 러시아로 망명해 모스크바에서 핀란드 공산당(SKP)을 창당했다. SKP는 1944년까지 핀란드에서 불법이었고, 당원들은 투옥될 수 있었다. 계속 전쟁 이후, SKP는 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SKDL)을 장악했다.

냉전 시대는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의 전성기였다. 1944년부터 1979년까지 SKDL의 지지율은 17%~24%였다. 공산주의자들은 여러 내각에 참여했지만, 총리나 대통령은 공산주의자가 아니었다. SKP의 주요 정적은 핀란드 사회민주당이었다.

SKP는 냉전 기간 소련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았다.[3] SKP는 유로공산주의 주류와 친소련 소수파 타이스토주의자로 분열되었다. 프라하의 봄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후, SKP 지도부가 소련을 비난하면서 당내 분쟁이 심화되었다. 타이스토주의자들은 소련과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지지했다.[4] 당은 두 개의 평행 구조로 운영되었고, 대중 지지도를 잃어갔다.[5]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에도 마르쿠스 카이눌라이넨은 소련 정책에 반대하는 그룹을 이끌었다.

1985-1986년, 수많은 타이스토주의자들이 제명되어 SKPy로 재결집, 이후 핀란드 공산당(1994)으로 발전했다.

1990년대 초 소련 해체는 이념 갈등과 분쟁을 야기했고, 알바르 알토 시기 불리한 주식 투자로 1992년 재정 파산했다. SKP는 회복되지 못했고, 1990년 대다수 당원은 좌파연맹을 결성했다.

SKPy는 1997년 핀란드 공산당으로 재등록했지만, 이전 의회 대표권은 회복하지 못했다.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18-1944)



1918년 핀란드 내전에서 붉은군이 패배하면서, 핀란드 사회민주당 지도부 일부는 소비에트 러시아로 망명하여 모스크바에서 핀란드 공산당(SKP)을 창당했다.[1]

핀란드 공산당은 1944년까지 핀란드에서 불법이었으며, 당원들은 투옥될 위험을 감수해야 했다.[2] 계속 전쟁 이후, 핀란드 공산당은 1944년 급진 좌파의 포괄 조직으로 설립된 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을 장악했다.[2]

2. 2. 냉전 시대의 전성기와 분열 (1944-1990)



냉전 시대는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에게 전성기였다. 1944년부터 1979년까지 핀란드 인민민주동맹(SKDL)의 지지율은 17%~24%에 달했다.[8] 공산주의자들은 여러 내각에 참여했지만, 핀란드에는 공산주의자 출신의 총리나 대통령은 없었다. 1960년대 중반, 미국 국무부는 당원 수를 약 40,000명(노동 가능 인구의 1.44%)으로 추산했다.[2] 핀란드 사회민주당은 핀란드 공산당(SKP)의 주요 정적이자 좌익 정당의 패권을 다툰 정당이었다. 노동조합 및 기타 좌파 단체에서의 경쟁은 매우 치열했다.

핀란드 공산당(SKP)은 냉전 기간 동안 소련으로부터 상당한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3] 내부적으로 SKP는 유로공산주의 주류와 강경 친모스크바 소수파(그들의 지도자 타이스토 시니살로를 따라 '타이스토주의자'라고 불림)로 분열되었다. "타이스토(Taisto)"라는 단어는 "싸움" 또는 "투쟁"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이중적 의미 때문에 핀란드 최대 일간지인 ''헬싱긴 사노마트''가 처음 사용한 이 비난이 굳어졌다.

프라하의 봄 사건과 뒤이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은 핀란드 공산당(SKP)에 큰 영향을 미쳤다. SKP 지도부가 소련의 개입을 강력히 비난하면서 당 내 분쟁은 그 어느 때보다 심화되었다. 사실상 유로공산주의적 다수파가 주도권을 쥐었지만, 타이스트파 소수파는 소련과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확고히 지지했다.[4] 이러한 상황은 점차 당의 분열로 이어졌고, 실제로 당은 두 개의 평행 구조로 운영되었으며 대중적 지지도를 점차 잃어갔다.[5]

1985년에서 1986년 사이에 수백 개의 당 조직과 수천 명의 당원으로 구성된 다수의 타이스토주의자가 제명되었다. 그들은 핀란드 공산당 (통일파)(SKPy)로 재결집했다.

2. 3. 소련 붕괴와 해산 (1990-1992)

소련 해체는 이념적 갈등으로 이어졌고, 당 내부에서는 격렬한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알바르 알토(Arvo Aalto)의 재임 기간 중 발생한 불리한 주식 시장 투자는 1992년 재정 파산으로 이어졌다.[6] 핀란드 공산당(SKP)은 결코 회복되지 못했다. 1990년 당원 대다수는 SKDL의 다른 회원 단체들과 함께 좌파연맹을 결성했다.

원래 1985~1986년에 제명된 당내 파벌이었던 SKPy는 모체보다 오래 존속하여 1997년 핀란드 공산당으로 재등록되었지만, 이전 공산당의 의회 대표권을 회복하지 못했다. 2007년 선거에서는 득표율 0.7%를 기록했고, 2011년 4월 선거에서는 겨우 0.3%를 얻었다.[6]

3. 분파 및 후계 정당

핀란드 공산당은 이념 갈등으로 인해 여러 분파로 나뉘었고, 그 결과 다양한 후계 정당이 등장했다.

1980년대 중반, 당내 강경파였던 타이스토주의자들은 다수가 제명되어 핀란드 공산당(단결)(SKPy)을 결성했다.[5] 이들은 1997년 핀란드 공산당으로 재등록했지만, 의회 의석을 확보하지는 못했다.

소련 해체 이후, 당내 분쟁은 더욱 심화되었고, 알바르 알토 재임 기간 중의 투자 실패는 1992년 당의 재정 파산으로 이어졌다. 결국 핀란드 공산당은 회복하지 못하고, 대다수 당원은 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SKDL)의 다른 회원 단체들과 함께 1990년 좌파연맹을 결성했다.[6]

3. 1. 핀란드 공산당 (통일파) (SKPy)

1985년에서 1986년 사이에 수백 개의 당 조직과 수천 명의 당원으로 구성된 다수의 타이스토주의자들이 핀란드 공산당에서 제명되었다. 이들은 핀란드 공산당(단결)(SKPy)로 재결집했다.[5] SKPy는 1997년 핀란드 공산당으로 재등록되었으나, 이전 핀란드 공산당의 의회 대표권을 회복하지는 못했다.

3. 2. 좌파연맹 (Left Alliance)

소련 해체 이후 이념적 갈등으로 당 내부에서는 격렬한 분쟁이 끊이지 않았다. 알바르 알토 재임 기간 중 발생한 불리한 주식 시장 투자는 1992년 재정 파산으로 이어졌다. 핀란드 공산당(SKP)은 회복하지 못하고, 당원 대다수는 핀란드 인민 민주 연맹(SKDL)의 다른 회원 단체들과 함께 1990년 좌파연맹을 결성했다.[6]

4. 청년 조직

핀란드 공산당(SKP)의 청년 조직은 핀란드 공산주의 청년 동맹(SKNL, 1925~1936)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젊은 공산주의자들은 SKDL 산하의 핀란드 민주주의 청년 동맹(SNDL)에서 활동했다. SNDL은 세계민주청년연맹의 회원이었다.

5. 역대 지도부

핀란드 공산당의 역대 지도부는 다음과 같다. 핀란드 공산당은 의장과 사무총장(서기장) 직책을 두어 당을 이끌었다.

핀란드 공산당 역대 지도부
직책이름재임 기간
의장위르외 시롤라(Yrjö Sirola)1918년–1920년
쿨레르보 만네르(Kullervo Manner)1920년–1935년
한네스 매키넨(Hannes Mäkinen)1935년–1937년[7]
유카 레흐토사리(Jukka Lehtosaari)1937년–1938년[7]
아이모 알토넨(Aimo Aaltonen)1944년–1945년, 1948년–1966년
아로 우시탈로(Aaro Uusitalo)1945년–1948년
아르네 사리넨(Aarne Saarinen)1966년–1982년
유코 카야노야(Jouko Kajanoja)1982년–1984년
아르보 아알토(Arvo Aalto)1984년–1988년
야르모 발스트룀(Jarmo Wahlström)1988년–1990년
헬야 타미솔라(Heljä Tammisola)1990년–1992년
사무총장 (서기장)아르보 투오미넨(Arvo Tuominen)1935년 - 1940년
빌레 페시(Ville Pessi)1944년 - 1969년
아르보 아알토(Arvo Aalto)1969년 - 1977년, 1981년 - 1984년
에르키 키비매키(Erkki Kivimäki)1977년 - 1981년
아르노 아이탐무르토(Aarno Aitamurto)1984년 - 1985년
에스코 바이니온패(Esko Vainionpää)1985년 - 1988년
헬야 타미솔라(Heljä Tammisola)1988년 - 1990년
아스코 매키(Asko Mäki)1990년 - 1992년


5. 1. 의장

이름재임 기간
위르외 시롤라(Yrjö Sirola)1918년–1920년
쿨레르보 만네르(Kullervo Manner)1920년–1935년
한네스 매키넨(Hannes Mäkinen)1935년–1937년[7]
유카 레흐토사리(Jukka Lehtosaari)1937년–1938년[7]
아이모 알토넨(Aimo Aaltonen)1944년–1945년, 1948년–1966년
아로 우시탈로(Aaro Uusitalo)1945년–1948년
아르네 사리넨(Aarne Saarinen)1966년–1982년
유코 카야노야(Jouko Kajanoja)1982년–1984년
아르보 알토(Arvo Aalto)1984년–1988년
야르모 발스트룀(Jarmo Wahlström)1988년–1990년
헬야 타미솔라(Heljä Tammisola)1990년–1992년


5. 2. 사무총장 (서기장)

사무총장임기
아르보 투오미넨(Arvo Tuominen)1935년 - 1940년
빌레 페시(Ville Pessi)1944년 - 1969년
아르보 아알토(Arvo Aalto)1969년 - 1977년, 1981년 - 1984년
에르키 키비매키(Erkki Kivimäki)1977년 - 1981년
아르노 아이탐무르토(Aarno Aitamurto)1984년 - 1985년
에스코 바이니온패(Esko Vainionpää)1985년 - 1988년
헬야 타미솔라(Heljä Tammisola)1988년 - 1990년
아스코 매키(Asko Mäki)1990년 - 1992년


6. 일본 공산당과의 관계

1983년 6월 19일부터 22일까지 일본 공산당의 부파 테츠조 위원장(당시)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이 핀란드를 방문하여, 알보 아르토 의장과 최초의 공식 회담을 실시했다.[10] 1985년 핀란드 공산당(SKP)은 일본 공산당 제17차 대회에 내빈으로 참석했다.[11]

참조

[1] 서적 Suomalaisen kommunismin synty 1918–1923 Kansan Sivistystyön Liitto
[2] 논문 Commu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s://www.jstor.or[...] 1968-03
[3] 서적 Niin kylmää että polttaa - Kommunistit, Kekkonen ja Kreml Otava
[4] 웹사이트 The Effects of the Prague Spring in Europe http://tuomioja.org/[...] 2015-01-02
[5] 서적 Finland in the New Europe Praeger
[6] 웹사이트 Ministry of Justice Finland https://web.archive.[...] 2011-04-20
[7] 서적 Stalinismin lyhyt kurssi SKS
[8] 간행물 戦後の欧州情勢の変化とフィンランドの中立政策の変貌 https://www.mofa.go.[...] 外務省
[9] 논문 Commu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links.jstor.o[...] 1968-03
[10] 간행물 日本労働年鑑 第55集 1985年版 第二部 労働運動 XIV 政党 https://oisr-org.ws.[...]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11] 간행물 日本労働年鑑 第57集 1987年版 第四部 労働組合と政治・社会運動 III 政党の動向 https://oisr-org.ws.[...]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12] 서적 Stalinismin lyhyt kurssi S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